본문 바로가기

My Work/Self Reflection(회고)

나의 PM 레벨은 어느 정도 일까?

"나는 PM으로써 잘하고 있는 사람일까? 못하는 사람일까?" 라는 생각을 하루에 수도 없이 생각할 때도 있다. 너무 답답해서 실제로 조직장님에게 직접 여쭤본 적도 있을 정도다. 과연, PM으로써 나는 몇 레벨(level) 정도 될까?

 

 

Chat GPT "PM의 레벨링"

 

 

이러한 고민을 계속 하다가 생각나는 블로그 글이 있었다. 네이버 기술 블로그에서 '벡엔드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개발자에게(링크)' 라는 글이다. 컴퓨터 공학과 학생들 사이에서도 명문처럼 여겨지는 글이기도 하다. 그 글 중간에 정상혁 개발자님이 신입 사원에게 요구하는 역량을 레벨링한 부분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개발자의 수준을 분류하고 싶습니다.

  • 레벨0: 이미 쓰고 있는 개발도구의 사용법을 알려주거나 가이드 문서를 줘도 잘 못 씀
  • 레벨1: 알려주거나 같은 팀에서 만든 가이드 문서에 있는 만큼만 쓸 수 있음
  • 레벨2
    • 개발도구의 공식 레퍼런스를 보고 사용법을 스스로 익힐 수 있음
    • 자신이 경험한 사용법을 문서화해서 팀 내에 전파할 수 있음
  • 레벨3
    • 여러 개발도구를 비교 분석해서 상황에 적합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음
    • 공식 레퍼런스 문서에서 부족한 부분을 수정해서 기여할 수 있음
  • 레벨4
    • 개발도구의 문제를 소스 코드를 수정해서 Fork/패치해서 사용할 수 있음

신입사원이라도 레벨2 정도는 함께 일할 개발자에게 기대를 하게 됩니다.

 

이 레벨링을 해석하자면, 레벨이 높을수록 정해진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확장성을 겸비하고 미래 방향성까지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궤가 같이 있다. 이 궤를 그대로 PM에 적용해봤다. 몰론, Chat GPT4한테 도움을 통해서ㅎㅎ

 

PM의 레벨 by Chat GPT4

PM 레벨 0:
역량: 기존의 프로젝트 관리 도구와 방법론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예시: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의 기본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PM 레벨 1:
역량: 팀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과 절차를 따라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음.
예시: 기존의 프로젝트 계획, 진행 상황 추적 방법을 따르고, 주어진 템플릿을 사용하여 문서화함.


PM 레벨 2:
역량: 다양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과 도구를 스스로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음.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팀 내에서 지식을 공유하고 향상시킬 수 있음.
예시: 애자일, 워터폴 등 다양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용함. 팀 내 베스트 프랙티스를 문서화하고 공유함.


PM 레벨 3:
역량: 다양한 프로젝트 관리 도구와 방법론을 비교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목표에 가장 적합한 접근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음. 공식 가이드라인이나 표준에서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음.
예시: 프로젝트의 목표, 팀 구성, 타임라인을 고려하여 최적의 관리 방법을 선택함. 업계 표준을 넘어서 자체적인 혁신적인 관리 전략을 개발함.


PM 레벨 4:
역량: 프로젝트 관리 도구와 방법론에서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구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접근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음.
예시: 팀의 특정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기존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거나, 독자적인 프로젝트 관리 프레임워크를 개발함.

 

다소 하드스킬 같은 스킬셋에 집중되어 말해주었지만 얼추 회사 사람들과 대입해보면 맞는 얘기인 것 같다. 나도 대충 어느 레벨인지 파악이 가능했다. 최근에 내가 직접 SEO를 분석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시킨 사례를 따지면 나는 1년 사이에 PM 레벨 1에서 레벨 2로 도달한 것 같다. 이 레벨링을 통해 내가 어떤 PM이 되어야 할지도 대충 윤곽이 잡혔다. 공식적인 가이드를 넘어 개선할 수 있는 사람, 상황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도출해낼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 나의 Next Level일 것이다. 

 

그리고 Chat GPT4가 제시한 레벨링을 조금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래 버전으로 바꾸었으니 수정된 버전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여러분들은 어느 위치에 있는지 객관해보고 어떤 것을 더 확장시키고 성장할 것인지 파악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