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 Work/웹 & 앱 서비스

(7)
Django 웹사이트 구축(기본) 회사 업무로 간단한 개발을 내가 도맡아 직접하기로 했는데, 사실 많이 잊어버려 기본적인 감을 찾고자 Django에 대한 공부를 했다. 먼저, Django(장고)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Python 웹 프레임워크이다. 웹 프레임워크는 웹 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필요한 많은 표준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처음부터 모든 것을 만들지 않아도 되게 도와준다. 장고를 선택한 이유는 나의 개발 주언어가 파이썬이기도 하고, 배운 웹 프레임워크가 장고밖에 없기 때문이다ㅎㅎ (사실 시간이 없어서 다른 언어, 프레임워크를 습득할 용기가 없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파이썬, 장고의 설치가 끝났다고 가정하고 웹사이트 구축에 필요한 요소들을 알아보겠다. 먼저, 가상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개발자마다 사용하는..
IA는 어떻게 쓰는 것이 맞을까? IA(Information Architecture)는 웹/앱 서비스 기획을 할 때, 꼭 나오는 기획 단계이자 문서이다. 하지만, 회사마다 사람마다 IA를 정의하는 것이 다르다. 당장 구글, 네이버 검색을 해봐도 어떤 사람은 IA를 계층구조 표현을 통해 시각화에 초점을 맞추고, 어떤 사람은 엑셀 형식으로 작성한다. 과연 어떤 것이 정답일까? 일단 IA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자. 위키피디아에서 검색해보면 IA를 이렇게 정의한다. (링크) 정보 아키텍처(IA)는 공유 정보 환경의 구조적 설계이며, 웹 사이트, 인트라넷, 온라인 커뮤니티 및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레이블을 지정하여 사용성과 검색 가능성을 지원하는 기술 및 과학이며, 디자인, 아키텍처 및 정보 과학의 원칙을 디지털 환경에 가져오는 데 중점을 둔 새..
웹/앱 서비스 프로세스 정리 '에이블리의 4910'을 역기획하기 전에, 내가 커스텀한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로 시작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많은 서비스 기획 방법론들과 순서가 있지만 모두 정답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직의 상황을 고려한 나만의 탄탄한 기획 프로세스가 있어야 된다. 고민 끝에 도출한 나만의 프로세스를 이 글을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1. 시장 조사 및 분석 목표 : 타켓 오디어스 파악, 경쟁사 분석 문서 : 타켓 오디언스, 경쟁사 시장 포지셔닝 분석 추천 사이트 : Statista(https://www.statista.com/) → 다양한 산업과 시장에 대한 통계 데이터 제공 분석을 통해 시장의 수요, 고객 세분화, 경쟁자의 강점과 약점 등을 상세히 정리해놓는 단계이다. 분석 자료를 통해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잡아야 ..
GA 연습을 위한 데모 계정 연동 GA4를 공부 중인데 실제 서비스의 데이터를 활용해보고 싶다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나 'Flood-It!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된다. 구글의 머천다이즈 스토어에 데모계정 연동하기 링크에 들어간 다음 데모계정 엑세스를 클릭 후, 구글의 머천다이즈 스토어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나의 GA 계정에 연동이 된다. 구글의 머천다이즈 스토어에 대한 표준 보고서뿐만 아니라 자유 형식의 보고서도 확인할 수 있다. 왼쪽 사이드바에서 탐색을 클릭 후, Shopping Behavior Funnel를 클릭하면 사용자의 행동을 퍼널로 분석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앱 서비스 기획 전, 알아야 될 기본 개념 앱 서비스를 역기획하기 전에 너무 앱 서비스에 문외한이라서 PM 혹은 서비스 기획자가 꼭 알아야 될 모바일 앱 디자인 개념을 정리했다. 네이비트 앱 VS 모바일 웹앱 네이티브 앱 :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앱 - 운영체제마다 언어가 다름 - 기능성 앱에 많이 쓰임 - 모바일 웹앱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더 많음 모바일 웹앱 :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 - HTML 언어로 개발 - 정보성 앱에 많이 쓰임 - 앱 서비스가 서버에 존재 하이브리드 앱 : 네이티브 앱의 장점 + 모바일 웹앱의 장점 ex) 구글의 Flutter 모바일 사용자 제스처 (User Gesture) 종류 - 탭 : 화면을 한 손가락으로 두드리는 행위, 웹에서는 Click과 같은 개념 - 더블 탭 : 화면을 두 손..
Open Graph (오픈 그래프) Open Graph란? Open Graph는 SNS에서 웹사이트의 링크를 주고 받을 때, 미리보기처럼 출력되는 이미지, 텍스트 등을 말한다. 웹사이트에 들어가기 전, 웹사이트의 대표 이미지와 짧은 웹사이트의 설명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Open Graph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웹사이트에서 F12를 눌러 개발자 모드를 킨 다음 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 Open Graph 태그는 29cm의 예시이다. - og:title : 29cm 블랙 프라이데이 페이지의 제목 - og:descriptioin : 해당 페이지에 대한 설명 - og:image : 미리보기 사진 - og:type : 해당 링크의 타입 - og:type : 웹사이트 이름 이처럼 Open Graph 세팅을 잘해놓아야 유가 마케팅을 했을 ..
SEO (검색 엔진 최적화) 23년 버전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는 검색 사이트(ex. 네이버, 구글)을 이용하는 고객의 질문에 가장 가까운 답을 해주는 것이다. 당연히, 웹사이트를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시키는 것은 웹 서비스 운영에 무조건 득이 된다. 이번 글에서는 어떻게 해야 구글의 검색 결과 상단에 위치할 수 있는지 분석했다. SEO의 단계는 크게 크롤링, 인덱싱, 검색 결과 정리 및 노출(SERP)이다. 이 말은 조금 더 쉽게 풀이하자면, 서점 알바가 새로 출간된 책을 수집하고(크롤링), 새로운 책이 여행 도서인지, 패션 잡지인지, 수필인지 분류하고(인덱싱), 괜찮은 책들은 월간 베스트, 이 달의 추천하는 책에 배치하는 것(SERP)과 같다. 결국에는 구글의 검색 엔진도 사람과 같다. 검색 엔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