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 Work

(38)
단기 프로젝트 회고_KPT 방법론 작년 12월, 정말 급하게 웹사이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어느정도의 기획은 있었으나 프로젝트를 관리해줄 사람이 없어 내가 얼떨결에 프로젝트를 맡게 되었다. 기간은 총 2주였으며, 투입 인력은 기획 1명, 디자인 1명, 개발 1명 등 총 3명이었다. 이렇게 단기간에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경험이 없어 어려움도 있었지만 나름의 좋았던 점도 있어 회고하고자 한다. 이번 회고에는 'KPT 회고' 라는 방법론을 통해 진행했다. 먼저, KPT는 Keep, Problem, Try의 약자이다. Keep(kaizen) : 좋았던 것, 다음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 Problem : 문제, 고충 Try : Problem을 고치기 위한 개선 방법 내 관점(PM 관점)에서 느낀 KPT Keep(Kaizen) 빠른 문제 공유..
나의 PM 레벨은 어느 정도 일까? "나는 PM으로써 잘하고 있는 사람일까? 못하는 사람일까?" 라는 생각을 하루에 수도 없이 생각할 때도 있다. 너무 답답해서 실제로 조직장님에게 직접 여쭤본 적도 있을 정도다. 과연, PM으로써 나는 몇 레벨(level) 정도 될까?    이러한 고민을 계속 하다가 생각나는 블로그 글이 있었다. 네이버 기술 블로그에서 '벡엔드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개발자에게(링크)' 라는 글이다. 컴퓨터 공학과 학생들 사이에서도 명문처럼 여겨지는 글이기도 하다. 그 글 중간에 정상혁 개발자님이 신입 사원에게 요구하는 역량을 레벨링한 부분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개발자의 수준을 분류하고 싶습니다.레벨0: 이미 쓰고 있는 개발도구의 사용법을 알려주거나 가이드 문서를 줘도 잘 못 씀레벨1: 알려주거나 같은 팀에서 만..
IA는 어떻게 쓰는 것이 맞을까? IA(Information Architecture)는 웹/앱 서비스 기획을 할 때, 꼭 나오는 기획 단계이자 문서이다. 하지만, 회사마다 사람마다 IA를 정의하는 것이 다르다. 당장 구글, 네이버 검색을 해봐도 어떤 사람은 IA를 계층구조 표현을 통해 시각화에 초점을 맞추고, 어떤 사람은 엑셀 형식으로 작성한다. 과연 어떤 것이 정답일까? 일단 IA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자. 위키피디아에서 검색해보면 IA를 이렇게 정의한다. (링크) 정보 아키텍처(IA)는 공유 정보 환경의 구조적 설계이며, 웹 사이트, 인트라넷, 온라인 커뮤니티 및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레이블을 지정하여 사용성과 검색 가능성을 지원하는 기술 및 과학이며, 디자인, 아키텍처 및 정보 과학의 원칙을 디지털 환경에 가져오는 데 중점을 둔 새..
웹/앱 서비스 프로세스 정리 '에이블리의 4910'을 역기획하기 전에, 내가 커스텀한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로 시작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많은 서비스 기획 방법론들과 순서가 있지만 모두 정답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직의 상황을 고려한 나만의 탄탄한 기획 프로세스가 있어야 된다. 고민 끝에 도출한 나만의 프로세스를 이 글을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1. 시장 조사 및 분석 목표 : 타켓 오디어스 파악, 경쟁사 분석 문서 : 타켓 오디언스, 경쟁사 시장 포지셔닝 분석 추천 사이트 : Statista(https://www.statista.com/) → 다양한 산업과 시장에 대한 통계 데이터 제공 분석을 통해 시장의 수요, 고객 세분화, 경쟁자의 강점과 약점 등을 상세히 정리해놓는 단계이다. 분석 자료를 통해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잡아야 ..
나만의 PM으로써의 소프트 스킬 (Soft Skills) 요즘 누군가가 나에게 "회사에서 배우고 있는 것이 뭐에요?"라고 물어보면 나는 "정말 많은 소프트 스킬에 대해서 많이 배워요." 라고 항상 답변한다. 그런 다음, 무슨 소프트 스킬을 배웠냐고 되물어보면 매번 다르게 답을 한다. 그래서 아직 내가 배운 소프트 스킬들을 잘 정리하지 못했다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내가 배운 소프트 스킬들을 1차적으로 정리하고 추후에 세분화할 예정이다. 그럼 먼저 PM으로써의 소프트 스킬이란 무엇일까? 내가 정의한 PM 관점으로써의 소프트 스킬은 아래와 같다. 소프트 스킬 (Soft Skills) 리더십 및 팀 관리: 팀을 효과적으로 이끌고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 갈등 해결, 팀 구성원 간의 협력 증진 방법 커뮤니케이션: 팀원, 이해관계자, 고객과의 효과적인 의사소..
GA 연습을 위한 데모 계정 연동 GA4를 공부 중인데 실제 서비스의 데이터를 활용해보고 싶다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나 'Flood-It!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된다. 구글의 머천다이즈 스토어에 데모계정 연동하기 링크에 들어간 다음 데모계정 엑세스를 클릭 후, 구글의 머천다이즈 스토어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나의 GA 계정에 연동이 된다. 구글의 머천다이즈 스토어에 대한 표준 보고서뿐만 아니라 자유 형식의 보고서도 확인할 수 있다. 왼쪽 사이드바에서 탐색을 클릭 후, Shopping Behavior Funnel를 클릭하면 사용자의 행동을 퍼널로 분석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스 연습문제 풀이 어린 동물 찾기 ANIMAL_INS 테이블은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정보를 담은 테이블입니다. ANIMAL_INS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ANIMAL_ID, ANIMAL_TYPE, DATETIME, INTAKE_CONDITION, NAME, SEX_UPON_INTAKE는 각각 동물의 아이디, 생물 종, 보호 시작일, 보호 시작 시 상태, 이름, 성별 및 중성화 여부를 나타냅니다.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 중 젊은 동물(INTAKE_CONDITION이 Aged가 아닌 경우를 뜻함)의 아이디와 이름을 조회하는 SQL 문을 작성해주세요. 이때 결과는 아이디 순으로 조회해주세요. 정답 SELECT ANIMAL_ID, NAME FROM ANIMAL_INS WHERE INTAKE_CONDITION !..
앱 서비스 기획 전, 알아야 될 기본 개념 앱 서비스를 역기획하기 전에 너무 앱 서비스에 문외한이라서 PM 혹은 서비스 기획자가 꼭 알아야 될 모바일 앱 디자인 개념을 정리했다. 네이비트 앱 VS 모바일 웹앱 네이티브 앱 :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앱 - 운영체제마다 언어가 다름 - 기능성 앱에 많이 쓰임 - 모바일 웹앱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더 많음 모바일 웹앱 :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 - HTML 언어로 개발 - 정보성 앱에 많이 쓰임 - 앱 서비스가 서버에 존재 하이브리드 앱 : 네이티브 앱의 장점 + 모바일 웹앱의 장점 ex) 구글의 Flutter 모바일 사용자 제스처 (User Gesture) 종류 - 탭 : 화면을 한 손가락으로 두드리는 행위, 웹에서는 Click과 같은 개념 - 더블 탭 : 화면을 두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