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 Work/웹 & 앱 서비스

앱 서비스 기획 전, 알아야 될 기본 개념

앱 서비스를 역기획하기 전에 너무 앱 서비스에 문외한이라서 PM 혹은 서비스 기획자가 꼭 알아야 될 모바일 앱 디자인 개념을 정리했다. 

 

 

Chat GPT "모바일 기획"

 

 

네이비트 앱 VS 모바일 웹앱

네이티브 앱 :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앱

< 특징 >

- 운영체제마다 언어가 다름

- 기능성 앱에 많이 쓰임

- 모바일 웹앱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더 많음

 

모바일 웹앱 : 모바일 전용 홈페이지

< 특징 >

- HTML 언어로 개발

- 정보성 앱에 많이 쓰임

- 앱 서비스가 서버에 존재

 

하이브리드 앱 : 네이티브 앱의 장점 + 모바일 웹앱의 장점

ex) 구글의 Flutter

 

 

모바일 사용자 제스처 (User Gesture) 종류

- 탭 : 화면을 한 손가락으로 두드리는 행위, 웹에서는 Click과 같은 개념

- 더블 탭 : 화면을 두 손가락으로 두드리는 행위, 엡에서는 Double Click과 같은 개념

- 프레스 : 화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행위 / 영역 복사 같은 기능에 많이 쓰임

- 팬 : 화면에서 손가락을 떼지 않고 드래그하는 행위 / VR이나 AR에서 많이 쓰임

- 드래그 : 화면에서 손가락을 대고 있다가 특정 방향과 특정 포인트로 움직인 후, 손가락을 떼는 행위

- 스와이프 : 화면에서 손가락을 대고 있다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행위

- 핀치 아웃, 핀치 인 : 줌인, 줌아웃

 

 

런처 아이콘 (Launcher Icon)

: 앱 서비스를 대표하는 아이콘 이미지

- iOS는 1024 x 1024px, Android는 512 x 512px

 

 

런치 스크린 (Launch Screen)

: 앱을 실행한 후, 처음 나타나는 인트로 화면

: 보통은 로고를 중앙 배치하지만 로그인이나 회원 가입을 유도해도 됨

 

 

다양한 예약어

예약어 예약어 예약어
sc 스크린 box 박스 ic 아이콘
btn 버튼 pop 팝업 in Input 상자
img 이미지 ok 체크 ls 리스트
msk 마스크 bg 배경화면 thum 썸네일

 

 

나인패치

: 아이콘의 크기가 상황에 따라 바뀔 때, 하나의 이미지가 자동으로 늘어나거나 줄게 하는 기능

: iOS는 스트레칭 이미지라고 함

: 나인패치 제너레이팅 사이트 같은 곳에서 작업하면 편함

 

 

해상도 표현

웹 : PX

Android / iOS : DP / PT

모바일 웹 : Viewport